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사람은 밥심으로 산다.

by 팔딴 2023. 7. 17.

밥

영화 〈살인의 추억〉에서 주인공 박두만은 오랫동안 쫓았던 살인용의자를 만난 뒤 이렇게 묻습니다. "밥은 먹고 다니냐?", "찬은 없지만 많이 잡수세요." 한국인들 사이에서 밥은 꽤 자주 오르내리는 대화 주제입니다. 만났을 때는 "밥 먹었니?" 헤어질 때는 "밥이나 한번 먹자"라고 말합니다. 이밖에도 "밥값을 해야지", "이게 내 밥줄이야","콩밥 한 번 먹고 싶니?", "밥 먹을 때는 개도 안 건드린다" 등 밥을 활용한 표현은 엄청나게 많죠. 한국인들은 왜 이렇게 밥에 집착하는 걸까요? 본 영상은 솥과 솥에 진심인 대한민국 대표 무쇠웨어 브랜드 무쎄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1. 밥의 탄생

밥이란 무엇일까요? 흔히 밥이라고 하면 이런 이미지를 떠올릴 겁니다. 흰쌀밥이죠. 하지만 사실 밥은 여러 곡물의 알곡을 통째로 익힌 음식을 일컫는 말입니다. 그래서 각 지역에서 주로 생산되는 곡물에 따라 조밥, 보리밥, 메밀밥 등 밥은 다양한 이미지를 가졌죠. 한반도에서 농사가 시작된 것은 약 5천 년 전, 하지만 곧바로 밥이 등장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알곡을 통째로 삶으려면 높은 온도나 압력이 필요합니다. 농사가 시작되었을 때 가장 일반적인 조리도구는 흙으로 빚은 토기였고 토기는 열전도율이 낮은데다 그다지 단단하지도 못해서 밥을 지을 만한 온도나 압력을 만들어내기 어려웠죠. 그래서 곡물을 알곡째로 삶는 대신 알곡을 잘게 으깨어 토기에 넣었고 여기에 물을 부어서 끓이는 방식이 가장 일반적이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한반도 사람들이 곡물을 이용해 만든 첫 번째 요리는 '죽'이었습니다. 현재 우리가 먹는 떡의 원조가 되는 음식이죠. 그렇다면 알곡을 통째로 익히는 음식, 즉 '밥'이 등장한 건 언제부터였을까요? 그러려면 일단 흙으로 만든 토기가 아니라 청동으로 만든 솥이 필요했습니다. 이건 4세기 고구려의 부엌 풍경을 보여주는 그림인데요. 아궁이엔 장작불이 타오르고 있고 그 위 부뚜막에는 솥과 시루가 놓여있습니다.

청동 솥은 토기보다 단단하고 열 전도율도 좋아 알곡을 통째로 익힐 만큼의 열을 만들고 유지할 수 있었죠. 그래서 이 솥에 물을 붓고 그 위에 시루를 얹어서 불을 때면 증기가 올라와 시루 안에 든 곡물들을 찔 수 있었죠. 이것이 바로 밥의 최초 레시피였을 겁니다. 하지만 이렇게 밥이 등장했다고 해도 당장 모두가 밥을 먹을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는데요. 청동의 원료가 되는 구리나 주석은 매장량이 아주 적었기 때문에 오직 소수의 사람들만이 청동을 사용할 수 있었고 청동 솥으로 지은 밥을 먹을 수 있었죠. 밥은 권력의 음식이었습니다.

 

2. 무쇠솥

철의 주조

밥의 대중화는 청동이 아니라 철과 함께했습니다. 철은 청동과 비교했을 때 아주 획기적인 발명품이었는데요. 녹이 잘 슨다는 단점은 있었지만 청동보다 단단하면서도 매장량도 많아 대량생산이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한반도 동남쪽에 치우친 작은 나라였던 신라가 6세기 들어 한반도의 주도 세력으로 떠오를 수 있었던 것도 주요 철광들을 확보하면서 군사력을 강화했던 사실과 관련이 있죠. 철을 가진 이들이 천하를 호령했습니다. 이후 신라에서는 철이 본격적으로 보급되면서 솥도 철로 만든 솥이 쓰이기 시작했는데요. 무쇠솥의 보급은 다른 방식으로 밥 짓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청동은 장작불로도 녹일 수 있을 만큼 열에 약했던 반면 철은 열에도 강해서요. 알곡을 증기로 찌는 게 아니라 펄펄 끓는 물에 알곡을 넣고 오랫동안 삶을 수도 있었죠. 지금과 유사한 형태의 '솥밥'이 등장할 수 있었던 겁니다. 그리 이후 철의 보급은 더욱 확대되어서요. 10세기 초 신라를 대신해 한반도의 새로운 패자가 된 고려는 전국에 제철소를 건설해 운영했습니다. 그래서 13세기 말쯤 되면 무쇠솥도 꽤 일반적인 물건이 되었죠. 그리고 무쇠솥의 보급은 밥의 대중화를 이끌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곧 쌀밥의 대중화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밥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고 한반도의 대중이 먹었던 밥은 쌀밥이 아니라 소위 '잡곡밥'이라 불리는 음식들이었죠. 애초에 한반도는 쌀밥을 먹기에 유리한 곳이 아닙니다 벼는 양쯔강과 갠지스강 사이에서 작물화되었다고 여겨지고 실제로도 고온다습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데요. 한반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도에 춥고 건조한 기후를 가졌기 때문에 쌀 생산량을 늘리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쌀밥은 이후로도 오랫동안 꿈의 음식으로 남았죠. 밥이 '권력의 음식'에서 '대중의 음식'이 된 이후에는 쌀밥이 '권력의 음식'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3. 밥맛

무쇠솥

한반도에서 밥의 대중화가 잡곡밥 위주로 이루졌다는 사실은 한반도 솥의 형태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한반도의 전통 무쇠솥이 다른 나라와 분명하게 구별되는 지점은 무엇일까요? 이것은 일본의 솥입니다. 다른 점이 눈에 보이시나요? 일본의 솥뚜껑은 나무로 만듭니다. 그런데 한반도의 솥뚜껑은 철로 만들어서 매우 무겁죠. 이렇게 육중한 솥뚜껑은 잡곡처럼 거친 재료로 밥을 지어야 했던 사람들이 조금이라도 더 부드러운 밥을 짓고자 했던 고민의 결과물이었습니다. 솥뚜껑은 그 무게로 솥을 꽉 눌러 솥 내부의 압력을 높입니다. 이는 물의 끓는점을 높여 물이 100℃보다 높은 온도에서 끓게 하죠. 그러면 곡물을 고온에서 빠르게 익혀 훨씬 부드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 곡물에 있던 전분도 포도당으로 잘 분해되어 단맛도 은은하게 도는 밥이 만들어지죠. 한편 저수지를 증설하고 모내기법이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한반도의 쌀 생산량은 꾸준히 늘었는데요. 18세기 초부터는 쌀밥 구경하기가 조금은 수월해진 시대가 찾아왔습니다. 잡곡으로도 먹을 만한 밥을 지었던 한반도의 무쇠솥이 부드러움의 끝판왕이라 할 흰쌀과 만났을 때 그 밥맛은 얼마나 좋았을까요? "밥 잘 지었다." 17세기 말 청나라 학자 장영은 자신의 책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조선인들은 밥짓기를 잘한다. 조선의 밥은 윤기가 있고, 부드럽고, 향긋하고, 솥 안의 밥이 고루 익어 기름지다" 19세기 초 조선의 학자 서유구도 이렇게 적었죠. "우리나라의 밥 짓는 법은 천하에 이름이 났다" 물론 이후로도 보릿고개는 자주 찾아왔고 한해 농사를 망칠 때면 그조차 먹지 못하는 경우도 부지기수였지만 어느덧 이 세상은 밥이 넘쳐나는 공간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변한 세월만큼 솥도 더 이상 이전의 솥은 아니게 되었죠. 전기밥솥이나 압력솥, IH 전기압력밥솥처럼 현대화된 솥들도 많이 등장했습니다. 하지만 더 좋은 밥맛을 탐했던 그 욕망만큼은 한국인들 사이에 일종의 집단기억으로 자리잡았습니다. 특히 옛날처럼 무쇠솥으로 갓 지은 흰쌀밥은 밥맛에 관한 원형질의 기억으로 남았죠. 그래서 최근에는 복고를 새롭게 즐기는 뉴트로 트렌드에 발맞춰 무쇠솥의 '뉴트로 진화'가 이뤄지고 있기도 합니다. 옛 무쇠솥의 원리와 감성을 구현하면서도 현대의 주방환경에 맞게 크기와 무게만 줄인 뉴트로 무쇠솥이 출시되고 있죠. 그것은 좋은 밥에 대한 한국인들의 진심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들어가셔서 저녁식사 하고 가세요." 매끼니 밥을 먹기 때문에 밥은 종종 삶과 동일시되고 따라서 밥을 챙겨먹는다는 것은 그 사람의 삶이 무탈하게 흘러가고 있다는 의미도 갖습니다. 그래서 오늘도 많은 한국인들은 밥에 집착하죠. 여러분들은 오늘 어떤 밥을 드셨나요?